• 온라인무료심리상담 서울, 부천권, 인천심리상담센터 N0.1 자부심.
    심리상담센터의 역사를 만들어가겠습니다.
  • 홈 > 커뮤니티 > 온라인무료심리상담

게시판
제목 [성인(개인)상담] 인천심리상담 "마음애심리상담센터" 에서 답변드립니다
작성자 온라인상담실 등록일 2025.01.08
첨부파일
어렸을 때부터(초등학교) 어머니에게 강한 훈육을 받았고 학업에 대한 압박이 심했으며 친구들 사이에서 은따를 당하면서 초등학교 5학년 때 청결에 대해 집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병원에 가보지는 않아서 청결 강박증인지 확신할 수는 없지만 한 번 손을 닦을 때 5번씩 닦고 비누와 소독제를 항상 챙겨다니며 생활하였습니다. 이러한 시기를 보내고 고등학교 2학년이 되어서는 청결에 대한 집착은 좀 줄어들어 한 번에 손을 1~3번 닦게 되었지만 화장실에 대한 집착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정말 배가아프거나 화장실에 가고싶은게 아닌데도 화장실에 갈 수 없는 상황이라고 생각이 들면 배가 아팠습니다. 그래서 주변 화장실을 외우고 화장실 비밀번호를 휴대폰에 기록해두었습니다.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서 고3이 되었을 때는 집중해야겠다는 생각에 대해 집착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집중해야겠다는 생각 때문에 집중이 되지 않았고 이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인지 살이 6kg이 빠지고 머리카락도 체감이 될 정도로 많이 빠졌으며 긴장하면 손을 떠는 습관이 생겼고 전보다 말을 더듬게 되었습니다. 추가로 가장 심각하게 느끼는 문제는 학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간다는 것입니다. 집중해야겠다는 생각 때문에 집중이 되지 않아 학업 효율이 나지 않고 암기가 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너무 스트레스를 받아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습니다.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 답 변 ====================

안녕하세요. 인천심리상담 "마음애심리상담센터" 입니다.

어린 시절 강한 훈육과 학업에 대한 압박, 그리고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느꼈던 소외감이 쌓이면서, 스스로를 보호하려는 마음이 청결에 대한 집착으로 나타났던 시기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집착이 점차 다른 형태로 변하면서, 지금은 화장실에 대한 불안과 학업에 대한 강박적인 생각으로 이어져, 신체적인 변화와 학업적인 어려움까지 겪고 있는 모습이 보여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다.

청결에 대한 집착, 화장실에 대한 불안, 그리고 집중에 대한 강박은 모두 스스로를 안전하고 성공적인 상태로 유지하려는 마음의 방식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이런 방식이 오히려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어, 새로운 접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현재 가장 큰 문제로 느끼는 것은 "집중해야 한다"는 생각이 오히려 집중을 방해하고 학업 효율을 떨어뜨린다는 점인 것 같습니다. 이는 강박적인 사고의 특징 중 하나로, "반드시 ~해야 한다"는 생각이 압박으로 작용하면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어렵게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우선 "집중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여유를 스스로에게 허락해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학습 시간을 짧게 나누고, 그 안에서 "이 시간만큼은 집중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마음으로 시작해보는 것입니다. 이런 방식은 압박을 줄이고 점차 효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화장실에 대한 불안은 심리적으로 안전에 대한 욕구에서 비롯된 것일 가능성이 큽니다. 화장실 비밀번호를 외우고 기록하는 행동은 불안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었겠지만, 이제는 이 불안을 조금씩 줄여가는 방향으로 연습해보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지금 화장실에 가지 않아도 괜찮다"는 생각을 연습하며, 불안이 점차 줄어드는 경험을 쌓아가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작은 성공 경험은 자신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지금의 문제를 혼자서 해결하려 하기보다는, 상담사의 도움을 받아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강박적인 사고와 불안은 심리 상담을 통해 그 원인을 이해하고, 이를 다루는 구체적인 방법을 배우는 데 큰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어린 시절의 경험이 지금의 상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탐구하면서, 현재의 감정을 건강하게 다루는 방법을 찾아갈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도 이렇게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는 점에서, 이미 충분히 잘하고 있다는 것을 꼭 알아주었으면 합니다. 스스로를 비난하거나 몰아세우기보다는, 이 상황에서도 나아가고자 하는 마음을 인정하며, 조금씩 해결책을 찾아보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상담예약 : 032-518-8088

생각을 통제할 수가 없어요
트라우마 벗어나고싶어요..
- -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