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트 게시판 서울, 부천권, 인천심리상담센터 N0.1 자부심.
    심리상담센터의 역사를 만들어가겠습니다.
  • 홈 > 커뮤니티 > 포스트 게시판

게시판
제목 틱장애를 대하는 올라는 자세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12.10.14
틱장애.jpg


-틱장애를 대하는 올바른 자세-
 

안녕하세요. 인천심리상담센터 마음애 입니다.


아이들이 일시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의미없는 이상한 소리를 낸다거나
자기도 모르게 눈, 코, 입이나 턱, 어깨 등을 움직이는 버릇을 보일 때가 있습니다.
이 때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괜찮아지려니 하고 그냥 지나칠수 있습니다만
틱장애의 초기증상이 아닐까 꼭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주로 유아기부터 초등학교 기간에 많이 나타나며,
주변의 반을 때문에 관계문제나 자아존중감 형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증상이므로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이 작용하여 증상이 악화될 수 있는 질환이기도 합니다.


특히 얼굴 부분의 눈깜박임이나 눈부릅뜨기, 고개 돌리기, 흔들기 등의 증상은
시각적으로 사물에 집중하는 것을 방해할 수 밖에 없어서
학습적 기능에 큰 지장을 가져오기가 쉽습니다.
최근 이와 같은 틱장애 뿐 아니라 ADHD 등 아이들의 일상적 성장과
학습을 저해하는 증상들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데요,
이러한 행동적, 심리적, 정서적 장애를 가진 아동은 열 명 중 한 명에 해당한다고 하니
우려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이 때 부모로서 당황하고 아이에 대해 불안감을 드러내기 보다는
빨리 전문 심리상담 기법을 적용하여 진행하면 교정이 쉬운데요,
가정과 주변에서 틱장애를 앓는 아이를 대하는 태도 역시 중요합니다.


나무라거나 지적하게 되면 해당 아동은 불안감이 극대화되며
오히려 지적된 내용에 대해서는 기억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어,
자꾸 야단을 맞는 아이가 되어 자아 존중감만 낮아지게 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이는 아이를 비뚤어지게 하는 원인으로만 연결되기 쉽습니다.


틱장애 아동에게 이 증상을 지적하거나 의식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원인인 스트레스를 가중시켜 악화를 초래할 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를 다그치지 마시고, 틱장애 전문상담센터에서 검사 및 상담을 통해서
스트레스 요인과 심리적 원인을 파악하여 놀이, 미술 및 인지 심리상담 등의
상담기법을 적용하면 좋은 개선 효과를 보실수가 있습니다.



마음애심리상담센터.jpg


사회공포증일까? 수줍은 걸까?
미술심리상담의 효과와 적용
  •       

정신건강을 위한 7가지 실천 전략 – 오늘부터 달라지는 마음의 습관
빠르게 변하는 사회 속에서 우리는 끊임없이 경쟁하고 비교하며 살아갑니다. 그 과정에서 가장 쉽게 소외되는 것이 바로 자신의 '정신건강'입니다. 몸이 아프면 병원을 찾듯, 마음이 지칠 땐 정신건강을 살피는 것이 필요합니다. 정신건강은 단순히 스트레스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을 조절하고 건강한 관계를 맺으며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내면의 힘을 말합니다. 이 글에서는 정신건강을 효과적으로 돌보는 7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단순한 위로가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7가지 실천 전략
우리가 삶의 도전을 이겨내는 힘, 그것은 바로 자기효능감에서 비롯됩니다. 자기효능감은 특정 상황에서 자신이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고 믿는 심리적 신념이며, 이는 곧 행동의 동기와 지속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칩니다. 학업, 직장, 인간관계 등 삶의 모든 영역에서 자신감 있게 나아가려면 자기효능감이 단단히 자리 잡고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많은 이들이 자신에 대한 믿음이 부족해 스스로 한계를 설정하거나, 실패를 두려워하며 도전을 꺼리는 모습을 보이곤 합니다.
우울증 증상으로 시작된 상담, 인생이 다시 시작됐어요 [심리상담 후기]
처음엔 단순한 피로라고 생각했어요. 아무것도 하기 싫고, 이유 없이 눈물이 났고, 좋아하던 일에도 흥미를 잃어버렸죠. 사람들 속에 있어도 외롭고, 혼자 있을 때는 더 무너지는 기분이었습니다. 몸은 멀쩡해 보였지만, 마음은 점점 어두워졌어요. 이게 바로 우울증 증상이었음을 나중에서야 깨달았습니다.
요즘 너무 우울하다면? 인천심리상담센터와 함께하는 일상 속 우울증 자가진단법
“요즘 왜 이렇게 아무것도 하기 싫지…” “감정기복이 심해지고, 매일 피곤한 느낌이야…” 혹시 이런 생각, 요즘 자주 드시나요? 이런 변화들이 단순한 컨디션 저하가 아니라면 ‘우울증’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인천심리상담센터에서는 일상 속에서 스스로 점검할 수 있는 자가진단법을 안내드리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하나씩 살펴볼까요?
- -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