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트 게시판 서울, 부천권, 인천심리상담센터 N0.1 자부심.
    심리상담센터의 역사를 만들어가겠습니다.
  • 홈 > 커뮤니티 > 포스트 게시판

게시판
제목 강박증 부추기는 사회시스템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13.06.27
강박증.jpg


강박증 부추기는 사회시스템

 

안녕하세요. 인천심리상담센터 마음애 입니다.


강박증에 관하여 분석가들은 ‘개인이 갈등을 처리하는

무의식적인 한 가지 방편’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갈등을 유발하는 환경을 관리하는 것이 우선 문제가 될 텐테요..


최근 르몽드(프랑스 일간지)지에는 한국의 교육 환경에 대한 기사가 언급되었습니다

그 내용은, 학업성취도는 높은 반면, 교육 강박증의 부작용이 크다는 것입니다.

다들 알고는 있었겠지만 남에게 들으니 왠지 충격이 좀 되는 듯 합니다.  


기사 내용을 좀 더 보면, 제목은 <교육 강박증에 걸린 한국인>이며,

국내총생산의 7.6%를 교육비로 쓰는 나라, 경쟁이 너무 심하고

교육제도 자체도 매우 어려운 것이라고 꼬집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하루에 열 다섯시간의 수업을 소화해야 하고,

왜곡된 교육열로 인한 시험문제 유출 등의 사고가 있는 곳이라고 합니다.  


학교를 벗어나면 어떨까요?

이렇게 강박증을 부추기는 시스템에서 벗어나게 되는 걸까요?  

구직자들은 ‘스펙 강박증’에 시달리고 있다고

유명 온라인 취업사이트의 조사결과가 말해 주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대답한 사람이 84%를 넘고 있는 것입니다.  


뉴스를 통해서도 기업들의 스펙 잣대 완화를 발표했지만

실제 구직자의 87%는 전혀 이를 실감하지 못하고 있다고 대답합니다.

지금 자신의 스펙이 취업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에 대한 대답은

‘NO'라고 대답하는 사람이 반이 훨씬 넘게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실제 이들이 취업가능성을 낮게 보는 근거는 대부분 스펙에 관한 부분이었는데요,

내 스펙이 부족해서, 나보다 스펙이 좋은 지원자가 너무 많아서,

그리고 기업의 스펙 기준이 너무 높아져서 등이라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이 정도면 스펙 강박이라고 해도 무방할 듯 하네요.  


강박증의 원인은 책임감이나 성취에 대한 부담을 갖는 기질적 요인과

사회심리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는데요,  

이만하면 과히 우리 사회는 강박증을 유발하고 부추기는 시스템이라는 것을 부정할 수 없게 됩니다.

조금 더 여유로운 마음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서로 배려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마음애심리상담센터.jpg


아이들을 위한 미술심리상담 적용 케이스
분노조절장애는 진행중
  •       

정신건강을 위한 7가지 실천 전략 – 오늘부터 달라지는 마음의 습관
빠르게 변하는 사회 속에서 우리는 끊임없이 경쟁하고 비교하며 살아갑니다. 그 과정에서 가장 쉽게 소외되는 것이 바로 자신의 '정신건강'입니다. 몸이 아프면 병원을 찾듯, 마음이 지칠 땐 정신건강을 살피는 것이 필요합니다. 정신건강은 단순히 스트레스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을 조절하고 건강한 관계를 맺으며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내면의 힘을 말합니다. 이 글에서는 정신건강을 효과적으로 돌보는 7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단순한 위로가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7가지 실천 전략
우리가 삶의 도전을 이겨내는 힘, 그것은 바로 자기효능감에서 비롯됩니다. 자기효능감은 특정 상황에서 자신이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고 믿는 심리적 신념이며, 이는 곧 행동의 동기와 지속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칩니다. 학업, 직장, 인간관계 등 삶의 모든 영역에서 자신감 있게 나아가려면 자기효능감이 단단히 자리 잡고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많은 이들이 자신에 대한 믿음이 부족해 스스로 한계를 설정하거나, 실패를 두려워하며 도전을 꺼리는 모습을 보이곤 합니다.
우울증 증상으로 시작된 상담, 인생이 다시 시작됐어요 [심리상담 후기]
처음엔 단순한 피로라고 생각했어요. 아무것도 하기 싫고, 이유 없이 눈물이 났고, 좋아하던 일에도 흥미를 잃어버렸죠. 사람들 속에 있어도 외롭고, 혼자 있을 때는 더 무너지는 기분이었습니다. 몸은 멀쩡해 보였지만, 마음은 점점 어두워졌어요. 이게 바로 우울증 증상이었음을 나중에서야 깨달았습니다.
요즘 너무 우울하다면? 인천심리상담센터와 함께하는 일상 속 우울증 자가진단법
“요즘 왜 이렇게 아무것도 하기 싫지…” “감정기복이 심해지고, 매일 피곤한 느낌이야…” 혹시 이런 생각, 요즘 자주 드시나요? 이런 변화들이 단순한 컨디션 저하가 아니라면 ‘우울증’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인천심리상담센터에서는 일상 속에서 스스로 점검할 수 있는 자가진단법을 안내드리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하나씩 살펴볼까요?
- -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