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트 게시판 서울, 부천권, 인천심리상담센터 N0.1 자부심.
    심리상담센터의 역사를 만들어가겠습니다.
  • 홈 > 커뮤니티 > 포스트 게시판

게시판
제목 주부 우울증 원인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15.07.03
주부우울증.jpg
 
 
주부 우울증 원인
 
안녕하세요. 인천심리상담센터 마음애 입니다.
우울증이 넘 많은 세대...외로운 가장, 위기의 주부, 방황하는 청소년..
연령을 불구하고 우울증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전인구적으로 높은 수치의 우울증 발병이 보고되어 우리사회에 경종을 울립니다.
 
그중에서 오늘은 빈번한 주부 우울증에 대해 살펴볼까 합니다.
모든 원인은 종합하면 스트레스라고 할 수 있는데요,
주부우울증의 원인이라면 육아 스트레스, 부부갈등, 고부갈등, 산후 호르몬 변화나
폐경기 호르몬 변화등이 많이 꼽히고 있지요.
 
그리고 간과할 수 없는 것이 가정의 대소사를 뒤에서 모두 감당하고 케어하는 역할을
혼자서 떠맡게 됨으로써 사회적 존재감, 위치 등의 변화나 스트레스 등이
주요한 주부 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부로서의 역할, 업무가
자신의 위치나 중요성이 잊혀지고 다른 가족으로부터나 사회적으로도
그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는,
업무는 무거우나 그림자처럼 되어버리는 결과가 되기 쉽기 때문입니다.
 
예전처럼 모든 여성에 대한 위치와 역할의 기준이 가사에 집중될 때에는 오히려
주부로서의 성취가 인정받고 위치를 확실히 하는 면이 있었지만
현대처럼 사회적 경제적 역할마저 공평하게 요구되는 사회에서
유독 가사가 홀대받는 것도 그런 분위기에 한몫 하고 있지요.
 
따라서 직장생활을 하다가 전업주부로 생활을 바꾼 후에
환경과 지위의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로 우울증이 유발되기도 합니다.
가사에 대한 평가절하로 역시 자기성취감이 저하된다는 이유이지요.


 일단 발병 후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조속히 심리상담적 접근하는 것은 물론,
주부우울증 예방을 위한 보다 근본적이고 사회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가정에서의 배려와 사회적 배려와 협력이 꼭 필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주부 우울증에 대한 배려의 으뜸은 전문가에 의한 심리상담을 받도록 하는 것입니다.



 
 
로고.jpg
산후우울증 증상 및 원인, 바람직한 생활 가이드
틱장애의 발전과 동반장애
  •       

정신건강을 위한 7가지 실천 전략 – 오늘부터 달라지는 마음의 습관
빠르게 변하는 사회 속에서 우리는 끊임없이 경쟁하고 비교하며 살아갑니다. 그 과정에서 가장 쉽게 소외되는 것이 바로 자신의 '정신건강'입니다. 몸이 아프면 병원을 찾듯, 마음이 지칠 땐 정신건강을 살피는 것이 필요합니다. 정신건강은 단순히 스트레스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을 조절하고 건강한 관계를 맺으며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내면의 힘을 말합니다. 이 글에서는 정신건강을 효과적으로 돌보는 7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단순한 위로가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7가지 실천 전략
우리가 삶의 도전을 이겨내는 힘, 그것은 바로 자기효능감에서 비롯됩니다. 자기효능감은 특정 상황에서 자신이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고 믿는 심리적 신념이며, 이는 곧 행동의 동기와 지속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칩니다. 학업, 직장, 인간관계 등 삶의 모든 영역에서 자신감 있게 나아가려면 자기효능감이 단단히 자리 잡고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많은 이들이 자신에 대한 믿음이 부족해 스스로 한계를 설정하거나, 실패를 두려워하며 도전을 꺼리는 모습을 보이곤 합니다.
우울증 증상으로 시작된 상담, 인생이 다시 시작됐어요 [심리상담 후기]
처음엔 단순한 피로라고 생각했어요. 아무것도 하기 싫고, 이유 없이 눈물이 났고, 좋아하던 일에도 흥미를 잃어버렸죠. 사람들 속에 있어도 외롭고, 혼자 있을 때는 더 무너지는 기분이었습니다. 몸은 멀쩡해 보였지만, 마음은 점점 어두워졌어요. 이게 바로 우울증 증상이었음을 나중에서야 깨달았습니다.
요즘 너무 우울하다면? 인천심리상담센터와 함께하는 일상 속 우울증 자가진단법
“요즘 왜 이렇게 아무것도 하기 싫지…” “감정기복이 심해지고, 매일 피곤한 느낌이야…” 혹시 이런 생각, 요즘 자주 드시나요? 이런 변화들이 단순한 컨디션 저하가 아니라면 ‘우울증’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인천심리상담센터에서는 일상 속에서 스스로 점검할 수 있는 자가진단법을 안내드리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하나씩 살펴볼까요?
- -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에 동의합니다.